광주 전기차 보조금 2024, 조회 및 신청방법 지급현황 총정리




광주 전기차 보조금

광주시는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2024년 광주 전기차 보조금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정책은 친환경 차량 보급을 통해 탄소 배출 감축과 대기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죠. 이 글에서는 광주 전기차 보조금의 조회 및 신청 방법, 그리고 지급 현황을 총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광주 전기차 보조금 신청

1. 광주 전기차 보조금

광주광역시는 미세먼지 저감과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을 위해 전기자동차 보급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환경 보호와 함께 시민들의 친환경 차량 구매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광주 전기차 보조금 신청

신청 기간: 2024년 2월 29일 09:00부터 12월 6일 18:00까지

  • 주의: 예산이 조기 소진될 경우 기간 내라도 신청이 마감될 수 있습니다.
  • 보조금 지급 신청 마감: 12월 12일(목) 18:00

신청 방법: 전기자동차 판매점을 통해 신청

  • 구매자는 판매점에서 차량 구매 계약을 체결한 후 필요 서류를 제출합니다.
  • 판매점에서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www.ev.or.kr)을 통해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보조금 신청하기

3. 보급 대수 및 차종별 세부 내역

총 보급 대수: 2,602대

차종전체일반우선순위 (10%)택시 (10%)택배물량 (20%)중소기업 생산물량 (10%)
승용1,7751,419178178
화물8074848116181
버스(중형)20

우선순위 대상

  • 취약계층(장애인, 차상위 이하 계층)
  • 상이·독립 유공자
  • 소상공인
  • 다자녀 가구(신청일 기준 가족관계증명서상 2자녀 이상으로 막내 자녀가 18세 이하인 경우)
  • 기존 노후 경유차를 폐차하고 전기차로 대체하려는 자(말소일자 2023.2.6.이후)
  • 생애최초 구매자
  • 어린이 통학목적 차량 구매자

전기차 보조금 지급 현황

4. 신청 자격 상세 설명

거주 기간 요건

  • 개인 및 개인사업자: 구매지원신청서 접수일 기준으로 광주광역시에 90일 이상 지속 거주
  • 기업 및 법인: 구매지원신청서 접수일 기준으로 광주광역시에 90일 이상 지속 설립

연령 제한

  • 개인: 만 18세 이상 (자동차 운전면허시험 자격 최소연령)

사업자 자격

  • 개인사업자: 대표자 또는 사업장 주소가 광주광역시인 경우
  • 법인: 광주광역시 내 사업장(본사, 지사, 공장, 자동차 대여사업소 등)이 위치한 경우

외국인 자격

  • 광주광역시에 주소를 둔 만 18세 이상 재외국민(F-4비자) 및 국내영주권자(F-5비자)
  • 광주광역시에 연속하여 3개월 이상 거주
  • 체류기간이 2년 이상 남아있어야 함




5. 2023 광주 전기차 보조금 지원 금액

기본 보조금

구분승용 (중대형)승용 (소형)승용 (초소형)화물 (소형)화물 (경형)화물 (초소형)승합 (중형)
1,020만원 (최대)865만원 (최대)400만원 (정액)1,420만원 (최대)1,056만원 (최대)560만원 (정액)7,000만원 (최대)
국비650만원 (차등)550만원 (차등)250만원 (정액)1,100만원 (차등)800만원 (차등)400만원 (정액)5,000만원 (최대)
지방비370만원 (비율)315만원 (비율)150만원 (정액)320만원 (비율)256만원 (비율)160만원 (정액)2,000만원 (최대)

 

전기차 보조금 조회

추가 보조금

  1. 차상위 이하 계층: 국비지원액의 20% 추가
  2. 청년 생애 최초 구매자: 국비 지원액의 30% 추가 (차상위 이하 계층인 경우 20%+10%)
  3. 전기택시: 국비 250만원 추가 (택시사업자 면허 소지자에 한함)
  4. 소상공인, 차상위 이하계층 화물차 구매: 국비지원액의 30% 추가
  5. 택배용 차량: 국비지원액의 10% 추가 (기존 경유화물차 폐차 및 6개월 간 택배업 유지 조건)
  6. 초소형 전기차 도심내 영업용: 국비 50만원 추가
  7. 어린이 통학차량용 승합차: 국비지원액의 20% 추가

6. 구매 및 보조금 신청 절차 상세 설명

광주 전기차 보조금 현황

  1. 구매계약 및 신청서 제출구매자가 전기자동차 판매점에서 차량 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필요 서류를 제출합니다.
  2. 구매지원 신청서 접수판매점에서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www.ev.or.kr)을 통해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3. 보조금 지원신청자 자격부여광주광역시에서 신청자의 자격을 검토하고 결과를 판매점에 통보합니다.
  4. 보조금 지원가능여부 확인판매점에서 10일 이내 출고 확정 시 광주광역시에 보조금 지원가능 여부를 확인 요청합니다.
  5. 보조금 지원대상자 확정통보광주광역시에서 예산 범위 내에서 보조금 지원 가능 시 대상자를 확정하고 통보합니다.
  6. 차량출고 및 등록확정통보일로부터 10일 이내에 차량을 출고하고 등록해야 합니다.
  7. 보조금 신청판매점에서 차량 출고·등록 완료 후 20일 이내에 보조금을 신청합니다.

전기차 보조금 서류

 

7. 의무준수 사항 상세 설명

의무운행 기간

  • 보조금을 지급받은 전기자동차는 5년간 의무적으로 운행해야 합니다.
  • 의무운행기간 내 전기차를 매도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매수자가 잔여 의무운행기간 준수 의무를 승계합니다.

조기 판매 시 규정

  • 차량 최초 등록일로부터 2년 내 판매 시, 광주광역시의 사전 판매승인이 필요합니다.
  • 전기승용차의 경우, 2년 내 타 지자체 판매 시 운행기간별 회수요율에 따라 시비 보조금을 회수합니다.
  • 전기화물차의 경우, 1년 이내 1만km 미만 운행 후 판매 시 보조금의 일부를 회수합니다.

폐차 시 규정

  • 의무운행기간 내 폐차 시 광주광역시의 사전 승인이 필요합니다.
  • 의무운행기간을 충족하지 못하고 차량등록을 말소할 경우, 운행기간별 보조금 회수요율에 따라 보조금을 반납해야 합니다.




8. 광주 전기차 보조금 관련 Q&A

Q1: 전기차 보조금 신청 자격은 어떻게 되나요?

A1: 구매지원신청서 접수일 기준으로 광주광역시에 90일 이상 지속 거주(개인 및 개인사업자), 설립(기업 및 법인) 중이어야 합니다. 개인의 경우 만 18세 이상이어야 하며, 외국인은 F-4 또는 F-5 비자 소지자로 광주시에 3개월 이상 거주한 자여야 합니다.

Q2: 보조금 지원 금액은 얼마인가요?

A2: 차종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승용 중대형의 경우 최대 1,020만원(국비 650만원, 지방비 370만원)까지 지원됩니다. 자세한 금액은 차종별로 상이하므로 공고문을 확인하시거나 관련 기관에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Q3: 보조금 신청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A3: 1) 차량 구매계약 및 신청서 제출, 2) 구매지원 신청서 접수, 3) 보조금 지원신청자 자격부여, 4) 보조금 지원가능여부 확인, 5) 보조금 지원대상자 확정통보, 6) 차량출고 및 등록, 7) 보조금 신청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Q4: 의무운행 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A4: 보조금을 지급받은 전기자동차는 5년간 의무적으로 운행해야 합니다. 의무운행기간 내 전기차를 매도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매수자가 잔여 의무운행기간 준수 의무를 승계합니다.

Q5: 보조금을 받은 차량을 조기에 판매하면 어떻게 되나요?

A5: 차량 최초 등록일로부터 2년 내 판매 시, 광주광역시의 사전 판매승인이 필요합니다. 전기승용차의 경우, 2년 내 타 지자체 판매 시 운행기간별 회수요율에 따라 시비 보조금을 회수합니다. 전기화물차의 경우, 1년 이내 1만km 미만 운행 후 판매 시 보조금의 일부를 회수합니다.

Q6: 추가 보조금 지원 대상은 어떻게 되나요?

A6: 차상위 이하 계층, 청년 생애 최초 구매자, 전기택시, 소상공인, 택배용 차량, 초소형 전기차 도심내 영업용, 어린이 통학차량용 승합차 등에 대해 추가 보조금이 지원됩니다. 각 대상별로 지원 금액과 조건이 다르므로 자세한 내용은 공고문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Q7: 보조금 신청 후 차종 변경이 가능한가요?

A7: 구매 지원신청서 접수 후 차종이나 연식 변경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단, 부득이한 경우 광주광역시의 사전 승인을 받은 경우에 한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Q8: 보조금 관련 문의는 어디로 하면 되나요?

A8: 환경부 전기차 통합콜센터(☎ 1661-0970) 또는 광주시콜센터(☎ 062-120)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9. 주요 유의사항

  • 자격부여 후 2개월 내 출고 필요: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 자격부여일로부터 2개월 이내에 출고되지 않을 경우 자격부여가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신속한 출고 및 보조금 신청 필요: 보조금 지원대상자 확정 통보일로부터 10일 이내 차량 출고, 출고 이후 10일 이내 보조금 신청이 필요합니다.
  • 차종 변경 불가: 구매 지원신청서 접수 후 차종이나 연식 변경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합니다.
  • 부정 수급 시 환수: 위장전입 등 거짓 또는 부정한 방법으로 보조금을 받은 경우 전액 환수됩니다.
  • 취약계층 주의사항: 차상위 이하 계층은 자동차 구입으로 인해 수급자격이 변동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10. 문의처

추가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다음 연락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환경부 전기차 통합콜센터: ☎ 1661-0970
  • 광주시콜센터: ☎ 062-120

11. 도로교통공단 전기차 이건 알고타자 !

전기차를 구매하신다면 꼭 알아보면 좋을 영상이 있어 찾아왔습니다. 도로교통공단에서 소개하는 전기차내용입니다.



자동차 보험 저렴하게 견적받는 방법

자동차 보험료가 많이 나가 걱정이신 분들 아래의 링크로 확인하고 보험료를 줄여보세요 !

자동차 보험 저렴하게 견적받기 !

장기렌트카 추천업체

자동차 구매가격이 부담이 된다면, 구입말고 렌트를 찾아보세요 ! 아래의 장기렌트카 추천업체를 소개해드립니다.

장기렌트카 추천업체 가격비교 !

12. 결론

2024년 광주광역시 전기자동차 민간 보급사업은 환경 보호와 시민들의 친환경 차량 구매를 지원하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이 사업을 통해 미세먼지 저감과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전기자동차 구매를 고려하시는 분들은 이 안내문의 정보를 잘 검토하시고, 자신의 상황에 맞는 최선의 선택을 하시기 바랍니다.

광주시의 전기차 보조금 지원 정책은 친환경 차량 보급을 통해 지역 환경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정책적 노력이 지속되어 광주가 친환경 모빌리티 도시로 거듭나길 기대해 봅니다. 전기차 구매를 고민 중이라면 이번 기회에 보조금 혜택을 누려보시기 바랍니다.



Leave a Comment